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이야기 66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

@RequiredArgsConstructor - 롬복으로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의 방법중에 생성자 주입을 임의의 코드없이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어노테이션으로 초기화 되지 않은 final 필드나 @NonNull이 붙으 필드에 대해 생성자를 생성해준다. 새로운 필드를 추가할 경우 다시 생성자를 만들어서 관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즉 @Autowired를 사용하지 않고도 의존성 주입이 가능하다. 보통 의존성 주입 방식에는 필드주입, 수정자주입, 생성자 주입 의 3가지 방법이 있는데 이중 가장 권장하는 방법은 생성자 주입이다 그러나 생성자 주입은 코드 작성 과정에서 번거로움이 많아 Lombok 을 사용하여 @getter @setter 과정을 축소하는 것처럼 @RequiredArgsConstructor 어노테이션..

스프링MVC 프로젝트 구조

- 일반적으로 생성한 스프링 MVC 프로젝트는 크게 자바 파일을 관리하는 서블릿 관련 폴더와 웹 파일을 관리하는 웹 관련 폴더로 구분한다. - 서블릿과 관련된 클래스 파일이 생성되면 src/main/java 폴더에 등록하여 관리하는데 보통 자바 클래스 파일들은 src/main/java 폴더에 패키지로 생성하여 등록하며 개발자가 만든 예외 클래스나 기타 유틸 클래스 파일 등도 src 폴더에 저장한다. - 웹과 관련된 JSP, 리소스, 스프링 MVC 환경 설정 파일 웹 프로젝트 환경 설정 파일 등이 생성되면 src/main/webapp 폴더에 등록하여 관리한다. - resources 폴더 : 이미지,js,css 등 정적 리소스 파일 - spring 폴더는 빈 객체들을 등록하는 서블릿 설정 파일인 스프링 MV..

자바의 변수와 타입 공부

- 자바는 정수, 실수 , 논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본 타입을 제공한다 - 정수타입 : byte, char, short, int, long - 실수 타입 : float , double - 논리타입 : boolean - 자바 정수 타입은 총 5개로 메모리 사용 크기와 저장되는 값의 범위가 서로 다르다 - byte : 1byte - 8bit : -2^7~ (2^7-1) [ -128 ~ 127] - short : 2byte - 16bit : -2^15 ~ (2^15-1) [-32768 ~ 32767] - char : 2byte - 16bit : 0~(2^16-1) [0~65535(유니코드)] - int : 4byte - 32bit : -2^31 ~ (2^31-1)[-2147483648 ~ 2147483648..

자바 -변수선언 정의 변수의 정의공부

- 변수 :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붙이는 이름 메모리의 특정 번지에 값을 저장하고 읽을 수 있다. - 하나의 변수에 동시에 두 가지 값을 저장할 수 없고 하나의 값만 저장가능하다. - 변수선언은 변수에 어떤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그리고 변수 이름이 무엇인지를 결정한다. - 변수이름은 자바에서 정한 명명규칙을 따라야 함 > 문자이거나 '$','_' 이어야 하고 숫자로 시작할 수 없다 > 영어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 첫 문자는 영어 소문자로 시작하되 다른 단어가 붙을 경우 첫 문자를 대문자로 한다 > 문자 수의 제한은 없다 > 자바 예약어는 사용할 수 없다. - 예약어 : 이미 해당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의미를 갖고 사용되고 있는 단어로, 변수 이름으로 사용할 수 없다. 예약어로 ..

HTTP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

-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서버와 웹 클라이언트 간에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에 맞게 요청을 웹서버에 전송하고 응답을 HTTP 프로토콜에 맞게 웹 브라우저에 전송한다. - 요청/응답부분 - 헤더부분 - 엔터티바디 부분으로 나뉜다. [ :] .... [ : ] [entity body] - 웹 클라이언트는 미리 알려진 포트로 연결을 시도하며 연결이 되면 웹 클라이언트는 HTTP 명령어, 문서 주소, HTTP 버전정보를 웹서버에 전달한다. HTTP 요청라인 : GET /index.html HTTP/1.0 - 요청라인 다음 줄에 웹 클라이언트 는 헤더 정보, 구성정보 받아들일 문서 포맷등의 정보를 옵션으로 웹서버에 전달한다. 모든 헤더 정보들은 한줄에 하..

'telnet'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텔넷설치하기

서버를 켰다 그리고 telnet을 날렸는데 'telnet'은(는) 내부 또는 외부 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이런 메시지가 뜬다 그럼 제어판에서 프로그램 추가제거에서 윈도우 기능 켜기끄기에서 텔넷 클라이언트를 클릭하자! 그리고 나서 다시 텔렛을 날리면 잘된다. 오키~

STS 톰캣에러 The server cannot be started because one or more of the ports are invalid. Open the server editor and correct the invalid ports.

STS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다. The server cannot be started because one or more of the ports are invalid. Open the server editor and correct the invalid ports. 찾아보니 포트 문제 이다 포트를 다른것과 같이 쓰면 안되기에.. - Tomcat admin port를 변경해준다. 여기서 tomcat admin port 와 http 포트는 달라야한다. - 왼쪽아래에서 publish module contexts to separate XML files에 체크가 해제되어 있으면 체크박스를 체크해주자 그리고 다시 시작 해주면 아주 잘 된다!! 공부하자!!!

CMD로 톰캣 설치 버젼 확인하기

톰캣을 압축풀기형이 아니고 설치형으로 설치한 경우 시간이 오래되어 내가 무슨 톰캣을 깔았는지 기억이 안날때가 있다. CMD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TOMCAT을 설치한 폴더로 이동하여 하위 lib 폴더로 이동하자 그리고 다음 명령어를 치고 엔터를 치면 설치된 톰캣 버전이 나온다 : java -cp catalina.jar org.apache.catalina.util.ServerInfo 적어두고 외워두자!!

이클립스에 STS 설치하기

- Help -> Eclipse Marketplace 로 이동한다. - MarketPlace 팝업에서 Spring Tool4를 검색한다. 다운로드 받을 기능에 체크박스를 선택하고 Confirm을 누르자 - 라이센스 승인 여부 클릭 - 권한을 설정하겠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모두 선택하고 신뢰하기 클릭 - 설치가 완료되면 껏다가 킨다! STS 추가 설치하기 - spring tool 3 검색하기 - 스프링 기능 확인하기 - 기능 확인 후 컨펌 한다 - 라이센스 확인 하고 컨폼하기! 각 권한 확인 후 Trust Selected 누르면 된다! 그 다음 재시작하기

데이터베이스정의 및 폭포수 모델, My-sql 데이터베이스모델링 툴

- 데이터 베이스 : 데이터의 집합 - DBMS :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소프트웨어 - 계층형 DBMS : 처음으로 등장한 DBMS 개념으로 1960년대 시작됨 각 계층은 트리형태를 갖는다. - 망형 DBMS : 계층형 DBMS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1970년대에 등장했으며 하위에 있는 구성원 끼리도 연결된 유연한 구조이다 - 관계형 DBMS : RDBMS라고 부른다. 테이블이라는 최소 단위로 구성되며 하나 이상의 열과 행으로 이뤄져 있다. - MYSQL 설치 과정 https://blog.naver.com/kimnew8376/223061317184 MySQL - workbench 설치 과정 정리해두기 다음주부터 새로운 부서에서 새로운 업무를 맡게 된다. 그곳은 마리아디비!! MYSQL의 ..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