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프로그래밍 이야기 66

자바 정수연산 실수연산 자동타입변환

- 정수 타입 변수가 산술 연산식에서 피 연산자로 사용되면 int 타입보다 작은 byte , short 타입의 변수는 int 타압으로 자동 타입 변환되어 연산을 수행한다. - 타입변환이 줄면 프로그램의 성능은 향상된다. - 자바는 실행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컴파일 단계에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package exam06; public class exam07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TODO Auto-generated method stu byte result1 = 10 + 20; System.out.println(result1); byte x = 10; byte y = 20; int result = x+ y; System.out.println(..

자바실수타입(float,double)/자바타입변환-강제타입변환,자동타입변환

- 실수타입 : 소수점이 있는 실수 리터럴을 저장할 수 있는 타입 - float , double float : 4byte(32bit) -(1.4* 10^-45) ~(3.4*10^38) ==> 7자리 double : 8Byte(64bit) - (4.9 * 10^-324) ~(1.8*10^308) ==>15자리 소스코드에서 소수점이 있는 숫자 리터럴은 10진수 실수로 인식한다. 또한 알파벳 소문자 e 또는 대문자 E가 포함되어 있는 숫자 리터럴은 지수와 가수로 표현된 소수점이 있는 10진수 실수로 인식한다. 자바는 실수 리터럴을 기본적으로 double 타입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double 타입 변수에 저장해야하며 실수 리터럴을 float 타입으로 저장하고 싶다면 리터럴 뒤에 서문자 f나 대문자 F를 붙여 컴..

@ResponseBody, @RequestBody

@ResponseBody : Http 통신에서 요청과 응답을 보낼때, 필요한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는 공간으로 응답하는 본문 - 자바 객체를 HttpResponse의 본문 responseBody의 내용으로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RequesteBody : Http 통신에서 요청과 응답을 보낼때 필요한 데이터를 담아서 보내는 공간으로 요청을하는 본문 - HttpRequest의 본문 requestBody의 내용을 자바 객체로 매핑하는 역할을 한다. json 이나 xml 형식으로 많이 사용됨 MessageConverter를 통한 데이터 변환 과정을 거친다.

@ApiOperation, @apiparam, @Async,@RequestParam

@ApiOperation 어노테이션 : 스웨거 관련 문서 rest api 에 대한 응답을 문서화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단일작업을 설명하는데 사용된다. 작업은 경로와 HTTP 메서드의 고유한 조합이다 내부에 정의된 응답 속성에는 일반 응답 유형이 포함되어야 한다. @Apiparam은 문서 자동화를 위한 스웨거에 쓰이는 어노테이션이고 @RequestParam 은 Http 부터 요청온 정보를 받아오기 위한 스프링 어노테이션이다. @Async :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쓰레드 풀을 활용하는 비동기 메서드 지원 어노테이션이다. 스프링 부트에서는 @EnableAsnyc 어노테이션을 추가하고 비동기로 작동하길 원하는 메서드 위에 @Asnyc 어노테이션을 붙여주면 된다. - private method 는 사용 불가 ..

MySQL - limit 해제하기

데이터를 다량으로 뽑아서 일단 그리드로 SQL창에 뿌려서 확인해야하는데 1000개만 또는 2000개만 보인다. 나는 limit를 걸지 않았는데 말이다. 알고보니 워크밴치에는 자동으로 limit가 걸려 있다. limit를 해제하고 싶은 경우 Edit => Preferences를 클릭하여 팝업을 연다 Workbench Preferences 에서 SQL Execution 에서 Limit Rows 체크박스의 체크를 해제하자 그리고 쿼리창 상단에 보면 limit to 1000 이라고 콤보박스가 있다 여기서 dont limit를 선택하고 셀렉트를 날리면 내가 원한 만큼 셀렉트를 날릴 수 있다.

MyWorkBench - 워크벤치 비밀번호 분실했을때 초기화 방법

한달 휴식 후 다시 재취업 그리고 다시 시작하는 워크밴치 어제 멘붕왔던 사항을 까먹지 않기 위해 오늘 내 노트북에 설치된 워크벤치로 테스트를 진행해보려고 했는데 웬열~ 로컬 디비 비번을 까먹었다 그래서 얼른 #워크벤치비번분실 이렇게 검색해봤다 여러가지 글이 있었다 컴퓨터를 재부팅하는 바람에 참고 URL은 따지 못했다 죄송합니다. 그래도 내 PC에서 진행했던 사항을 적어둔다. 먼저 서비스에서 MySQL을 중지시킨다. 서비스 속성에서 우클릭하여 실행파일 경로를 복사하여 따로 텍스트 파일에 옮겨 적어 둔다. 그리고 바꿀 서버의 비밀번호를 셋팅할 텍스트파일을 작성한다. 구문은 아래와 같다 ALTER USER 'root'@'localhost' IDENTIFIED BY '1234'; 그다음 CMD 창을 관리자 모드..

@RequestMapping,@api,@value 어노테이션 정리

@RequestMapping- 특정 uri 로 요청을 보내면 Controller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할지 정의 하는데 이때 들어온 요청을 특정 메서드와 매핑하기 위해 사용하는 어노테이션이다 여기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분은 value 와 method 이다 value : 받을 url을 설정하게 된다 method : 어떤 요청으로 받을지 정의하게 된다 ( GET, POST, PUT, DELETE) @Api : 해당 API 설명하는 어노테이션 @value : Properties를 읽는 어노테이션으로써 propertySource를 사용하여 다양한 프로퍼티 파일을 쉽게 불러들여서 값을 지정한다는 장점이 있다.

mySql with(Nolock) 처리하기

- ms-sql에서는 with(nolock) 기능이 있다. - 대량의 데이터를 셀렉트하는데 다른곳에서 CRUD 등의 작업이 있는 경우 테이블에 락이 걸리면 이것도 저것도 못하는 상황이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이럴때를 대비하여 나는 대량의 데이터를 셀렉트 해야할때 다른 작업에 영향을 주지 않기 위해 위드 노락을 쓰는데 mySQL 에는 이게 없다고 한다 대신 비슷한 기능으로 다른 형식으로 쓰는 것이 있다고 하니 적어두고 써먹자 set session transaction isolationlevel read uncommitted; Select * from tablList; set session transaction isolation level repeatable read;

@RestController / @EnableAsync 어노테이션

@RestController - Restful Web Service 에서 사용되는 컨트롤러 어노테이션이다 - @Controller + @ResponseBody가 합쳐진 형태로 Json 형태의 객체 데이터를 반환한다. -스프링 4.0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최근에는 프론트앤드와 백앤드를 나누어 개발하는 경우가 많기에 BackEnd에서 Rest Api를 통해 json 으로만 전달하기 때문에 편리성을 위해 이를 사용한다 @Async : 스프링에서 제공하는 Thread Pool 을 활용하는 비동기 메소드 지원 어노테이션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를 사용해서 비동기식 방식의 메서드를 정의할 때마다 Runnable의 run()을 재구현 하는 등 동일한 방법이 잦았으나 스프링 부트..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