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이야기/SPRING BOOT 공부

인프라 변화에 따른 기술의 변화

글쓰는 개발자 김뉴네 2023. 8. 12. 18:10
728x90
반응형

- 오픈소스들을 조합해서 서비슬르 출시하는 경우가 일반화 되고 있음

- 서버/클라이언트  개념이 등장하면서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개발이 본격화 되고, 델파이를 이용한 업무 프로그램과 ActiveX를 이용해 웹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이 자주 사용됨

- 서버에서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자체 개발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소켓 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룸

-  전자상거래 활성화와 웹에 대한 선풍적인 인기, 상용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흥행 등으로 시스템을 3티어(tier)로 구성하는 방식이 일반화 됨

- 클라우드 방식을 활용하기도 함

- 각 사앙에 맞춰 이용해야만 하고 일부만 임의로 증설하거나 변경하는게 어렵고 클라우드 업체의 기술에 종속되는 문제가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함

인프라 변화에 따른 기술의 변화

- 특수분야를 제외하고 회사에서 하는 개발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음

- 엔터프라이즈 : 금융업무 또는 날씨 같은 부분을 차지하며 반드시 트랜잭션이 보장

- 웹서비스

- 통신사의 경우 데이터를 주고 받은 후에 특정 장비나 단말기에 표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의 UI가 필요없고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기도 함.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