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드JS 코딩연습을 한다
let fruit1 = 'apple';
fruit1 = 'banana';
const pi = 3.14;
console.log('fruit1 :' , fruit1);
console.log('pi:',pi);
자 그리고 해당 폴더에 들어가서 node index.js
라고 치고 엔터 똭!
그럼 결과가 나온다
- 변수 : 변하는 수
- 상수 : 상수 const를 앞에 붙여주면 된다.
- 뒤에 프로그램이 복자발 것을 대비해 최대한 const를 사용한다.
- const를 기본으로 사용하고 꼭 바뀌는 값이면 다시 let으로 바꾸어 주는 방식으로 개발하는 방법도 좋다
const string10 = '10';
const string20 = '20';
const number10 = 10;
const number20 = 20;
console.log('string:%s', string10 + string20);
console.log('number:%d', number10 + number20);
console.log('string + number : %s', string10 + number20);
문자와 숫자를 더하기 연산하면 문자형을 따라간다
'10' + 20 = 1020
const isNaN123 = isNaN(123);
const isNaNMinus123 = isNaN(-123);
const isNaN234 = isNaN('234');
const isNaNHello = isNaN('hello');
console.log('isNaN123:',isNaN123);
console.log('isNaNMinus123',isNaNMinus123);
console.log('isNaN234',isNaN234);
console.log('isNaNHello',isNaNHello);
- isNaN은 is Not a Number의 줄임말이다
- isNaN()은 괄호 안에 넘겨준 파라미터가 숫자이면 False를 리턴하고 숫자가 아닌 다른 타입이면 True를 리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const number10 = 10;
const number20 = 20;
const plusResult = number10 + number20;
const minusResult = number10 - number20;
const multipleResult = number10 * number20;
const divideeResult = number10 / number20;
console.log(plusResult);
console.log(minusResult);
console.log(multipleResult);
console.log(divideeResult);
'프로그래밍 이야기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배열, indexOf (0) | 2023.08.27 |
---|---|
Node.js 논블로킹IO / 블로킹IO (0) | 2023.08.23 |
Node.js 사이트 메뉴얼 확인 (0) | 2023.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