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 이야기/JAVA 공부
- 아키텍처의 변화
글쓰는 개발자 김뉴네
2023. 8. 10. 10:53
728x90
반응형
- 오프소스를 조합해서 서비스를 출시하는 경우가 일반화 되고 있다.
- 서버/클라이언트 개념이 등장하면서 사용자를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개발이 본격화 되고, 델파이를 이용한 업무 프로그램과 ActiveX를 이용해서 웹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방식들이 자주 사용됨
- 서버에서 파일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자체 개발을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소켓 통신을 통해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방식이 주류를 이름
- 전자 상거래 활성화와 웹에 대한 선풍적인 인기, 상용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의 흥행으로 시스템을 3티어로 구성하는 방식이 일반화 됨
-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기도 함 : 각 사양에 맞춰 사용해야만 하고 일부만 임의로 증설하거나 변경하는게 어렵고, 클라우드 업체의 기술에 종속되는 문제가 단점으로 작용하기도 함
- 특수 분야를 제외하고 회사에서 개발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됨
- 엔터프라이즈 / 웹서비스
- 엔터프라이즈 : 금융 업무, 날씨 같은 부분을 차지하고, 보안과 안정성에 민감하며 반드시 트랜잭션이 보장되어야한다.
- 통신사의 경우에는 데이터를 주고 받은 후에 특정 장비나 단말기에 표출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별도의 UI(User Interface)가 필요없고 서버/클라이언트 방식으로 소켓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받음.
728x90
반응형